반응형

마이퍼스트앙상블 추천음악 39

39. String Quartet No. 21, K. 575, [Prussian No. 1] - W. A. Mozart

String Quartet No. 21, K. 575 [Prussian No. 1] -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1. 추천 오늘의 추천 곡은 모차르트의 프러시안 4중주 중 첫 곡인 21번 K.575입니다. 하이든으로부터, 모차르트는 동기 부여 발전의 가치와 음악 작곡에 대한 건설적인 계획을 배웠습니다. 반대로 하이든은 그의 세대와 어린 동료인 모차르트 영향을 받게 되면서, 하이든은 더 길게 표현된 멜로디와 주제적인 대조에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배우고 듣고 즐기는 고전음악 현악 4중주의 분야에서, 하이든에서 모차르트로 직접적인 흐름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하이든의 현악 4중주에 의해 설정된 모범의 모차르트에게 주는 혜택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38. String Quartet No.2 in D Major - A. Borodin

String Quartet No. 2 in D Major - Alexander Borodin (1833-1887) 1. 추천 알렉산드르 보로딘(1833-1887)은 19세기 서유럽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러시아 전통음악을 추구하는 ’러시아 5인조’ 중 한 명으로 민족주의 작곡가들인 발라키레프, 쿠이, 무소르그스키, 림스키 코르사코프와 함께 활동하였습니다. 보로딘은 요즘 우리가 흔히 말하는 멀티플레이어였습니다. 그는 화학자로서 의과대학 교수로 활동하며, 작곡가로서도 러시아 국민음악의 창시자로 활동하고, 피아노, 플룻, 특히 첼로 연주에 특출났으며, 사회 운동 일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는 화학자로서의 본업이 있었기에 별명이 ‘일요 작곡가(Sunday Musician)’라 불릴 정도로 음악 창작 ..

37. Le Tombeau de Couperin(쿠프랭의 무덤), M. 68a - Maurice Ravel

Le Tombeau de Couperin, M. 68a - Maurice Ravel (1875~1937) 1.추천 라벨의 피아노 솔로를 위한 곡인 [Le Tombeau de Couperin (쿠프랭의 무덤)]은 그가 존경하던 17~18세기 프랑스의 위대한 작곡가인 프랑수아 쿠프랭(François Couperin, 1668-1733)과 18세기 프랑스 음악을 표현하기 위해 작곡되었습니다. 겉으로 보기엔 매우 간결하고 정확성이 나타나지만, 음악에 대한 진정성과 현실에 대한 그만의 신념들을 내보이고 있습니다. Tombeau(무덤)는 예술적 찬사에 부여된 제목입니다. 라벨은 무덤에 대한 언급이 아닌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이 작품을 썼기에 전쟁으로 희생된 여러 지인들과 어머니의 죽음으로 헌사가 가득했습니다. (그..

36. String Quartet No. 14, D. 810 in d minor [Death and the Maiden(죽음과 소녀)] - F. Schubert

String Quartet No. 14, D. 810 in d minor [Death and the Maiden(죽음과 소녀)] - F. Schubert 1. 추천 슈베르트는 죽음과 삶에 대한 집착이 있었습니다. 그의 작품들 중 약 50여개가 죽음을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그의 삶은 어린시절 부모와 형제들이 죽고, 본인도 유약하여 병에 걸려 죽음과 삶에 대한 풍경을 자주 바라보며 작곡하였습니다. 그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음악으로서 표출해 내며, 삶에 대한 의지를 음악으로 그려냈습니다. 1817년 20세에 독일의 시인 마티아스 클라우디우스의 시 [죽음과 소녀(Der Tod und das Madchen]를 가곡으로 작곡 하였습니다. 그의 20세의 가곡 d단조의 엄숙한 장례식 행진곡으로 임박한 죽음의 소리를..

35. Piano Trio in A minor Op. 50, TH. 117 - P. Tchaikovsky

Piano Trio in A minor Op. 50, TH. 117 - P. Tchaikovsky “In Memory of a Great Artist” 1. 추천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트리오 Op. 50은 그의 스승이자 친구인 루빈스타인이 1881년 3월 세상을 떠나고 나서 감정적으로 더욱 위태로워진 시기에 작곡된 곡입니다. 3악장 형식이 아닌 큰 2악장으로 여러 변주곡으로 구성되어 있는 1시간 가량의 대곡입니다. 차이코프스키는 실내악곡이 그리 많지 않고, 피아노 트리오 곡으로는 Op. 50이 유일합니다. 그는 피아노 트리오 편성을 평소에 좋아하지 않았으나 루빈스타인은 피아니스트였기에 그를 추모하는 마음에 당연한 결과물이 나왔습니다. 차이코프스키에게 루빈스타인은 스승이자 멘토였고 모스크바 음악원장을 루빈..

34. Symphony No.2 in E minor, Op. 27 - Sergei Rachmaninov

1. 추천 Symphony No.2 in E minor, Op. 27 - Sergei Rachmaninov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이며 지휘자였던 라흐마니노프는 러시아 후기 낭만의 대표 작곡가입니다. 그가 1897년 24살, 그의 교향곡 1번이 완전하고 완전히 실패하자 그에게 쏟아진 혹평와 비판으로 만성 우울증과 노이로제에 시달리게 되었습니다. 그는 문제가 무엇인지 찾아 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정신과 치료를 받기 시작했습니다. 3년 가까이 쉬며 그는 1901년 그의 두번째 피아노 협주곡을 성공시키며 다시 한 번 부활을 다짐하였습니다. 독일 드레스덴에 머물며 작곡에 전념한 그는 1906년과 1907년에 그의 교향곡 2번을 만들었습니다. 1908년 라흐마니노프가 직접 지휘하여 이 곡을 초연하였고, 이 곡은 1번..

33. Manfred Symphony (만프레드 교향곡), Op. 58 - P. Tchaikovsky (1840~1893)

1. 추천 Manfred Symphony [만프레드 교향곡], Op. 58 - P. Tchaikovsky 러시아 작곡가 차이코프스키의 55분 정도 길이의 광대한 교향곡을 작곡하게 됩니다. 그의 교향곡 작품 4번과 5번 사이에 작곡한 은 1885년에 탄생하였습니다. 영국 바이런의 극시에 기초한 이 곡은 사실 러시아 국민악파 5인조의 한명인 발라키레프가 베를리오즈에게 작곡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표제음악의 대가였던 베를리오즈는 너무 고령이라 이를 거절하고, 훗날 차이코프스키에게 제안하며 그 제안 속에는 발라키레프의 각 악장의 키와 템포가 배치된 제안된 작업과 음악적 계획을 제공했으며 수많은 스코어링 세부 사항을 함께 보냈다고 합니다. 그의 편지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고 합니다. “나에게는 이 웅장한 주..

32. Quintet for Piano, two Violins, Viola and Cello, Op. 68 - Charles-Marie Widor

1. 추천 Quintet for Piano, two Violins, Viola and Cello, Op. 68 - Charles-Marie Widor Charles-Marie Widor (1844~1937)는 프랑스 리옹 출신의 오르간 작곡가로 오늘날 주로 그의 오르간 작곡으로만 기억됩니다. 자신의 시대에 그는 프랑스의 주요 작곡가 중 한 사람이자 최고의 오르간 연주자, 그리고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교사로 국제적으로 유명했습니다. 그는 악기에 관한 훌륭한 논문인 "현대 오케스트라의 기술"(1904)의 저자였으며, 그는 모든 오케스트라 악기를 극도로 상세하게 분석하여 이를 통해 스트라빈스키와와 라벨에게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사실 븨도르는 평생 동안 많은 작품을 작곡했으며 거의 ​​모든 장르에서 작업했습니..

31. Turangalîla-Symphony (투랑갈릴라 교향곡) - O. Messiaen(메시앙)

메시앙(Olivier Messiaen 1908-1992)은 '살아 있는 음악'을 주창하며 오늘날 20세기 현대 음악의 위대한 작곡가이자 실험적이고 신비한 음악의 선두주자입니다. 음악과 인간과의 관계를 탐구하고 전위적이며 그 누구보다도 독특한 음악가이고, 메시앙은 위대한 오르가니스트이고 독실한 카톨릭 신앙으로 종교 음악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기존 주류에서 탈피한 음악가였던 이유는 신고전주의 등에 대해서도 벗어나려는 시도였으며, 그로 인해 조옮김과 비역핵성 리듬, 16분의 7박자 등 불규칙한 리듬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그는 새에 대한 깊은 관심과 연구를 통해 새 소리 등 자연적인 음향을 자신의 작품에 응용하였습니다. 그의 제자들에게도 새의 소리를 들어보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할 정도였습니다. 1..

30. Concerto for three violins, strings and basso continuo in F major (TWV 53:F1) - G. Ph. Telemann

1. 추천 게오르크 필립 텔레만 (Georg Philipp Telemann (1681~1767)) 은 바로크 시대의 대표 작곡가입니다. 독일에서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하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흐, 비발디, 헨델과 한 시대를 같이했습니다. 텔레만은 방대한 양의 작곡을 했으며, 그의 작품 수는 바흐와 헨델의 수를 합친 것보다 많다고 합니다. 19세기에 와서 텔레만과 바흐의 작품에 대해 비교가 되면서, 바흐의 양식이 바로크를 규정하는 것처럼 되었지만 20세기와 현대에는 여러 자료들과 논문들을 통해 텔레만 만의 갈랑 양식과 전 고전주의 양식의 선두는 그에게서 찾을 수 있다고 보고 되어지고 있습니다. 더욱 그는 계몽주의적 작곡가로서 중산층 시민 계급을 위한 음악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평가 받고 있습니다. ..

반응형